맨위로가기

공주군 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공주군 을은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신설되어 공주군 장기면, 의당면, 정안면, 우성면, 사곡면, 신풍면, 유구면을 관할했던 대한민국의 옛 선거구이다.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공주군 갑, 을 선거구가 통합되면서 공주군 단일 선거구로 변경되어 폐지되었다. 역대 국회의원으로는 신방현, 김명동, 윤치영, 김달수, 김학준 등이 있으며, 김학준은 4, 5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공주시의 정치 - 공주시·연기군
    공주시·연기군은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공주시 선거구와 연기군 선거구가 통합되어 2000년부터 2012년까지 존속했던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였으나, 2012년 연기군 지역이 세종특별자치시로 편입되면서 폐지되었다.
  • 공주시의 정치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공주시의회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지역구 10명과 비례대표 2명으로 구성된 공주시의회 의원 선거 결과, 더불어민주당이 6석, 자유한국당이 5석, 무소속 후보가 1석을 차지했다.
  • 충청남도의 폐지된 선거구 - 공주시·연기군
    공주시·연기군은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공주시 선거구와 연기군 선거구가 통합되어 2000년부터 2012년까지 존속했던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였으나, 2012년 연기군 지역이 세종특별자치시로 편입되면서 폐지되었다.
  • 충청남도의 폐지된 선거구 - 아산시 (선거구)
    아산시 선거구는 1995년 아산시 출범과 함께 설치되어 제19대 국회의원 선거까지 존재했으며, 제20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아산시 갑, 아산시 을로 분구되면서 폐지되었다.
  • 194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단양군 (선거구)
    단양군 선거구는 1948년 신설되어 1963년 제천군과 통합 폐지될 때까지 5번의 국회의원 선거를 치렀으며, 조종승, 장영근, 조종호 등이 당선되었다.
  • 194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고창군 갑
    고창군 갑은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위해 신설되어 고창군 지역을 관할했으며, 1963년 선거구 통합으로 폐지되었고 김영동, 김수학, 정세환, 류진 등이 국회의원으로 활동했다.
공주군 을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선거구 정보
이름공주군 을
의회국회
큰 지도충청남도
지도 연도알 수 없음
연도1948년
폐지1963년
유형국회
이전 선거구알 수 없음
이후 선거구공주군
유권자알 수 없음
의원알 수 없음
정당알 수 없음
지방 의회알 수 없음
지방 선거구알 수 없음
인구알 수 없음
의원 수1인

2. 역사

공주군 을 선거구는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공주군 장기면, 의당면, 정안면, 우성면, 사곡면, 신풍면, 유구면을 관할하는 지역에 신설되었다.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공주군 갑 선거구와 통합되어 공주군 단일 선거구가 되면서 폐지되었다.

2. 1. 선거구 개설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공주군 장기면, 의당면, 정안면, 우성면, 사곡면, 신풍면, 유구면을 관할하는 선거구로 신설되었다.

2. 2. 선거구 폐지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공주군 갑과 공주군 을 선거구가 통합되면서 공주군 단일 선거구가 됨에 따라 폐지되었다.

3. 역대 국회의원

공주군 을 선거구에서는 다양한 정당 소속 의원들이 당선되었다. 1948년에는 무소속 신방현이 당선되었고, 1950년에는 대한국민당 김명동, 1952년 재보궐선거에서는 대한국민당 윤치영이 당선되었다. 1954년에는 자유당 김달수가, 1958년과 1960년에는 민주당 김학준이 연이어 당선되었다. 이는 한국 초기 정치의 다양한 정당 구도를 보여준다.

3. 1. 역대 국회의원 목록


4. 역대 선거 결과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무소속 신방현 후보가 당선되었고,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대한국민당 김명동 후보가 당선되었다. 김명동 의원 사망으로 치러진 1952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에서는 대한국민당 윤치영 후보가 당선되었다.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자유당 김달수 후보가,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와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주당 김학준 후보가 연이어 당선되었다.

4. 1.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무소속 신방현 후보가 당선되었다. 여러 무소속 후보들이 난립한 가운데, 신방현 후보가 25.47%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신방현무소속8,41525.47
김평중무소속7,33022.19
이종백무소속6,84320.71
이건철무소속3,95411.97
이규원상무사2,6187.92
한보순조선불교중앙총무원2,0076.07
홍순량무소속1,8655.64
김용준무소속00


4. 2.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대한국민당 김명동 후보가 당선되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김명동대한국민당6,51820.94%
정인경무소속5,04616.21%
신방현무소속4,88615.70%
이종백무소속4,62414.86%
이은봉무소속3,33610.72%
원종국무소속2,2367.18%
김승태무소속1,6735.37%
문홍범무소속1,2313.95%
정종렬무소속8912.86%
유응호무소속6732.16%
김평중무소속00%
이상덕무소속00%
김기태무소속00%
김하진무소속00%
이원무소속00%


4. 3. [[1952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김명동 의원의 사망으로 인해 치러진 1952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에서 대한국민당 윤치영 후보가 당선되었다.

4. 4.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 결과, 자유당 김달수 후보가 당선되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김달수자유당9,02727.97%
이순하무소속4,03312.50%
박찬무소속3,96312.28%
김학준무소속2,7388.48%
김평중무소속2,6818.30%
심재욱무소속2,3677.33%
이은봉민주국민당2,2556.98%
김홍식무소속1,7145.31%
노수일무소속1,6885.23%
장원길무소속1,1753.64%
김용화무소속6221.92%
이의택무소속00%


4. 5.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김학준 후보가 42.57%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
김학준민주당15,24942.57
김달수자유당14,86141.49
임명직무소속5,70315.92
합계35,813100


4. 6.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

1960년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김학준 후보가 25.16%의 득표율로 당선되어 재선에 성공하였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김학준민주당10,10225.16
박찬민주당8,15320.30
이은봉민주당6,95417.32
김달수자유당5,86514.60
이명상무소속3,0437.57
임명직무소속2,2595.62
이의택무소속1,8594.63
이건정사회혁신당1,3623.39
강용식무소속5521.37
합계40,14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